티스토리 뷰

반응형

[ 이전 글 보기 ]

 

https://includecoding.tistory.com/218

 

1. HTML의 기본 형식

퇴사한 지 1년이 넘은 시점.. 아직 코딩 실력은 줄지 않았겠지 라고 생각하고 C#에서 javascript로 넘어가 javascript/typescript와 react.js를 독학하고 구글링하면서 1달 반동안 헤딩한 결과 주식 계산기 토

includecoding.tistory.com

 


 

<tag>....</tag>

1. 태그는, <> 시작이고, </> 끝을 의미하며, <tag/> 이런식으로도 사용이 가능한데

<>value</> 만약, value가 필요가 없거나 해당 태그 안에 다른 자식태그를 넣지 않아도 된다면, <tag/> 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element라고도 불린다.

 

<tag attribute='value'>....</tag>

2. attribute는, 태그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attribute는, class와 id 같이, 해당 태그에 대한 속성을 지정해서 태그의 기능들을 추가해준다고 보면 된다.

 

<!-- 이것은 주석입니다. -->

3. html은, <!-- --> 이런식으로 주석을 사용한다.

 

<body>
	<h1>Hello World</h1>
    <h2>Hello World</h2>
    <h3>Hello World</h3>
    <h4>Hello World</h4>
    <h5>Hello World</h5>
    <p>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br />
      Quo, voluptas beatae hic assumenda asperiores vitae id<br />
      eos inventore a dicta officiis doloribus unde sequi vero quibusdam omnis, neque ea nostrum!
    </p>
</body>

4. <h1>~<h6> 태그는, Headings, 문서의 제목 작성에 필요한 태그이며, 숫자가 크면 클수록 글씨의 크기가 작아진다.

 

5. <p> 태그는 paragraph를 뜻하는 태그로, 본문 또는 한 단락에 대한 글을 작성하기 좋은 태그이다.

 

6. <br>은, 한 줄 띄어쓰기 일반 컴퓨터언어에서 '\n' 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밑에 사진은 저렇게 작성할 시 html의 모습이다.

<a href="https://www.google.com" target="_blank" title="구글로 이동합니다">구글로 이동하자!</a>

7.  <a> 태그는, anchor를 뜻한다

href 어트리뷰트는, 이동하려는 태그를 뜻함.

target 어트리뷰트는, "_blank"를 입력할 시, 다른 탭에서 구글에 대한 홈페이지를 띄워주는 것이고

default로 설정이 되어 있는 것은 "_self"다. "_self"는 링크를 클릭한 홈페이지에서 구글 홈페이지로 이동하는 것이며

title 어트리뷰트는, 링크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고 있으면, 구글로 이동합니다 라는 글이 뜬다.

 

<ul>
      <li>리스트1</li>
      <li>리스트2</li>
      <li>리스트3</li>
    </ul>

    <ol>
      <li>리스트1</li>
      <li>리스트2</li>
      <li>리스트3</li>
    </ol>

8. <li> 태그는, list를 뜻한다.

9. <ul> 태그는, unordered list를 뜻하며, 순서가 정해지지 않은 리스트를 말한다.

10. <ol> 태그는 ordered list를 뜻하며, 순서가 정해진 리스트를 말한다.

 

위 코드는 다음과 같이 출력된다.

11. <ul> 태그는, 순서는 올바르게 출력되지만, <ol> 태그 처럼 앞에 순서를 적어서 정렬하지 않는 반면에, <ol> 태그는, 순서에 맞게 1. 2. 3. 을 앞에 붙여주는 것을 볼 수 있다.

 

12. <ol> 태그에는 type이란 attribute가 있는데, type에는 "a", "A", "1", "I", "i" 라는 value를 사용할 수 있고,

"a"를 사용하면, a,b,c

"A"를 사용하면, A,B,C

"1"을 사용하면, 1,2,3

"I" 를 사용하면,Ⅰ,Ⅱ, Ⅲ

"i" 를 사용하면, i, ii, iii 로 순서대로 정렬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ul> 태그에 있는 점 표시를 없앨 수도 있는데, 그 부분은 css의 영역이라 css에 대한 내용에 정리를 하고, 링크를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img width="200px" src="logo.png" />

13. img 태그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태그이고, src 어트리뷰트는, source의 줄임말이고

해당 html 폴더에 있는 이미지 url을 넣어주거나, 다른 웹페이지에 있는 이미지 url을 넣어줘서 사용이 가능하다.

 

저 위에 코드를 실행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만약에 사진이 없거나 잘못됐을 경우, alt 어트리뷰트를 넣어서

alt="사진 없음" 이런 식으로 넣어준다면, 경로가 잘못되서 사진이 없을 경우, 엑박과 함께 사진없음이란 글이 나오게 된다.

 

 

14. <input> 태그는, 어트리뷰트가 많기 때문에, 해당 내용을 볼 수 있는 링크를 넣어놓도록 하겠습니다.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Input

 

<input>: 입력 요소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HTML <input> 요소는 웹 기반 양식에서 사용자의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대화형 컨트롤을 생성합니다.

developer.mozilla.org

 

15. <strong> 태그와 <i> 태그가 있는데, <strong> 태그는 볼드처리를 하기 위해 사용되고, <i> 태그는 이탤릭체(italic) 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strong>안녕하세요. BaseOfCoding입니다. </strong><i>만나서 반갑습니다.</i>

위 코드를 실행했을 때 출력되는 화면은 밑에 사진과 같다.

 

지금까지 HTML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문법에 대해서 정리를 해봤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다음 글에서 뵐게요!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