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 iOS

 

1. 프로젝트 폴더에 있는 ios 폴더에 Runner 폴더 안에 있는 info.plist 파일을 연다.

2. 그리고 맨 밑에 </plist> 위에 있는 </dict> 위에 이렇게 입력을 해주자.

<key>NSAppTransportSecurity</key>
<dict>
	<key>NSAllowsLocalNetworking</key>
	<true/>
	<key>NSAllowsArbitartyLoadsInWebContent</key>
	<true/>
</dict>

2 ) Android

1. android / app / src / main 폴더안에 있는 AndroidManifest.xml 파일로 이동

2. manifest 태그와 application 태그 사이에 밑에처럼 입력을 해준다.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INTERNET"/>

- 일단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줘야한다.

 

3. 그리고, application에 속성값을 추가해줘야한다.

<application
        android:label="flutter_blog_web_view"
        android:name="${applicationName}"
        android:icon="@mipmap/ic_launcher"
        android:usesCleartextTraffic="true">   <-- 이 부분 추가

 

이러면 안드로이드든 iOS든 https가 아닌 http 프로토콜도 사용이 가능해진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