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넥사크로 스튜디오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실행을 해보자.
그러면, 기본 설정 셋팅창이 뜨게 되는데,
Perspective는 developer 모드, Command Type은 건드리지 않고 Default로 설정
테마는 Black 테마를 설정하고 넘어갔다.
1. 프로젝트 생성하기
1.1 - 프로젝트는 상단 메뉴에 File -> New -> Project를 클릭
1.2 - 상단 메뉴 밑에 아이콘 중에 3번째 아이콘을 클릭하는 방법
1.3 - Ctrl + Shift + N 키를 눌러서 프로젝트를 생성
이렇게 총 3가지의 방법이 있다.
2. Project Wizard
- Project Wizard에는, Application과 Template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Template은, 샘플 데이터이고 구성틀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어느 정도만 수정하거나 소스코드를 살펴보면서 코드리뷰를 해보는 것도 나쁘진 않다.
- Application을 클릭하고, Project Name을 원하는 대로 입력을 하자.
- 그럼 Desktop, Tablet, Phone 이렇게 있는데, 원하는 기기의 해상도에 맞게 만들 수가 있는데 Desktop만 클릭하고, Next
- Next를 누르면, Frameset을 구성하는 부분이 나오는데, 애플리케이션의 메뉴가 위치하는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곳이라고 보면 된다. 그리고 template을 선택할 때 마다, Project Preview가 변경이 되는데, 해당 Preview에 나오는 구조는 Project Exploler에 그대로 똑같이 표시가 된다. Desktop은, TopLeft or MidLeft 프레임을 제일 많이 사용한다. 난 TopLeft를 선택하고, 위에 있는 Details Setting을 클릭한다.
- Details Setting은, TopLeft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이라고 보면 된다. 레이아웃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구나 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자가 원하는 방식대로 프레임을 선택하면 되고, 밑에 Show Titlebar와 Show Statusbar가 체크박스로 되어 있는데, 만약 자신이 타이틀바 또는 스테이터스바가 필요없다라고 하면, uncheck 해주면 된다.
- 그리고 Frameset Separatesize에서, Workframe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도 있다. HFrameset은, Horizontal 즉 수평(가로) 사이즈를 뜻하고 VFrameset은, Vertical 즉, 수직(세로) 을 뜻한다. 그리고 변경하고 싶다면, 프로퍼티 창에서도 수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굳이 건드릴 필요는 없다.
- 내가 쓸 프레임을 선택했으면, finish를 눌러주자.
3. Project Exploler
3.1 - 구조는 다음과 같다.
- Project
- Environment
-ScreenDefinition
- Desktop_screen 어쩌구 저쩌구...
- Variables
- Cookies
- HTTP Header
- Script
- TypeDefinition
- Objects
- Services
- ProtocolAdaptors
- DeviceAdaptors
- Application Infomation
- Application Variables
- Datasets
- Variables
- DataObjects
- Applications
- Application_Desktop
- Base
- FrameBase
- 구조마다 다르게 나옴
프로젝트에서의 기본 환경 파일은, Environment ~ Application Infomation 까지가 기본 환경 파일이고
Base와 BaseFrame은 서비스마다 다르다.
3.2 - ScreenDefinition이란?
- ScreenDefinition은, 내가 설정한 기기가 무엇이냐를 볼 수 있다. 처음에, Desktop이 아닌 Tablet이나 Moblie을 선택했다면, Desktop이 아닌 태블릿, 또는 모바일이 나오거나 추가가 될 것이다.
3.3 - Variables이란?
- Variables를 더블클릭해보자. Variables는 말 그대로 변수값을 정의할 수 있는 설정파일이다. + 버튼을 누르고 변수명(id) 과 initval ( 초기 변수값 ) 을 입력하면 애플리케이션에서 variable값을 참조할 수가 있게 된다.
variables는, 브라우저의 localstorage에 저장이 되게 되어 있다. 그래서 만약에 개발자가 지워주는 로직을 만들어주지 않았다면 변수의 값이 그대로 저장이 되기 때문에 보안에 위험성 또는 오류가 아닌데도 오류처럼 생각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를 넘겨줄 때는 암호화해서 넘겨줘야 한다. 왜냐하면 initval에 들어가는 값은 평문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3.4 - Cookies란?
- Cookies 또한 더블클릭해서, + 버튼을 눌러 추가할 수가 있다. Cookies는, Session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서버입장에서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해당 데이터를 보내준다? 아니다. 왜냐하면 보안성 문제가 있기 때문에, 요청을 할 때 서버에서 발행한 Session 정보인지를 체크하고, 맞다면 요청한 데이터를 넘겨주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3.5 - HTTP Header란?
- HTTP Header 또한 + 버튼을 눌러서 추가할 수 있고, HTTP 통신을 할 때 기본적으로 Header의 정보를 넘겨주게 되는데
만약 추가적으로 Header 정보를 더 넘겨줘야 하는 경우 여기에 key : value를 추가해서 넘겨주면 된다.
3.6 - Script 메뉴란?
- 위에서 정의한 Variables, Cookies, Header를 제어하기 위해서 Script를 작성해야 하는데, 해당 메뉴에서 작성을 하면 된다.
'web & develop > 웹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넥사크로 ] 4. 넥사크로 개발 툴 사용방법 (0) | 2022.08.04 |
---|---|
[ 넥사크로 ] 3. 넥사크로 화면 만들어보기 (0) | 2022.08.04 |
[ 넥사크로 ] 1. 넥사크로 설치하기 (0) | 2022.08.03 |
[MVC SPRING] 19. forword(포워드) 기법이란? (0) | 2022.04.30 |
[MVC SPRING] 18. MVC03(Model 2 방식) (0) | 2022.04.30 |
- Total
- Today
- Yesterday
- CSS
- spring boot
- HTML
- 비지니스 로직
- 스프링
- MVC
- Unity
- Java
- 서블릿
- 게임프로그래밍
- unity3d
- 유니티
- c#
- Vuforia
- 안드로이드
- 프리젠테이션 로직
- GitHub
- Base Of Coding
- Controller
- JSP
- 유니티로 배우는 C#
- 뷰포리아
- VR
- 유니티3D
- Next.js
- Git
- Servlet
- baseofcoding
- Spring
- 프로그래밍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