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Nerd-Lee입니다. 공부 내용은, 인프런 박매일님의 [NarP Series]MVC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나프1탄] 을 참고하였습니다. MVC 1단계인, Servlet 환경으로만 만들어보고, MVC 2단계로 넘어가고 나중에는 Spring Framework를 사용하는 방식의 강의입니다. MVC 1단계는, Controller + Model 만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1. Controller 역할에서의 코드를 보고, 실행하는 로직 생각해보기 jsp에, form 태그에 action 속성에는 calc.do 라고 맵핑이 되어 있다. submit 버튼을 클릭하면, input의 name으로 되어 있는 값들이 변수가 되어 해당 값들을 calc.do에 넘겨주게(요청) 된다. 이 때 넘어가는 정보를 요청정보라..
안녕하세요. Nerd Lee 입니다. Mac OS에서, 터미널보단 개발자분들은 iTerm2를 많이들 사용하시더라구요. 저도 iTerm2를 사용한 지는 얼마 되진 않았는데 그래도 테마 적용을 하면 깔끔하니 보기가 좋았습니다. 그래서 설치법과 테마적용하는 방법들을 한 번 공유해보기 위해 글을 작성했습니다. 1. 설치하기 iTerm2 다운로드 페이지 링크 에 가셔서, Stable Releases 버전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압축을 풀고, iTerm2를 더블클릭해서 실행하면, 애플리케이션 폴더로 이동을 시킬건지 물어봅니다. Application Folder 인가? 그 버튼 클릭하면, 옮겨집니다ㅎㅎ 2. oh my zsh 다운로드하기 $ sh -c "$(curl -fsSL https://raw.git..
안녕하세요. Nerd Lee 입니다. MacOS Homebrew 및 git bash 설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it bash를 설치하기 전에, Homebrew 라고 하는 오픈소스 패키지 매니저?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설치해야 합니다. 순서대로 하시다보면 git bash 설치는 금방금방 끝낼 수 있습니다! 1. Homebrew 홈페이지 가기 홈브루 홈페이지 링크 2. Homebrew 설치하기 mac os에 내장되어 있는 터미널에 해당 명령어를 붙여넣기 하면 설치 시작! 조금 오래 걸립니다.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설치 완료 후 버전을 확인해보..
Ajax로 통신을 할 때, FormData형의 데이터를 넘길 때, Illegal invocation 이란 값이 나올 수 있다. Ajax에, 옵션값을 두개 추가하면 된다. processData : false 서버로 보내지는 data는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에 맞는 쿼리 문자열로 처리 및 변환된 형태라고 한다. DOMDocument 또는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를 보낼 때에는, 이 옵션값을 false로 지정해야한다고 한다. contentType: false default 값은,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charset=UTF-8" 라고 한다. "multipart/form-data" 로 전송이 되게 옵션값을 false로 지정해야 한다고..
해당 오류는, @RequestBody 어노테이션 때문에 생기는 문제이다. 기존 코드는, @RequestBody 어노테이션으로 http의 요청 본문을 가져와서, VO에 담아놓는 방식이였으나 Resolved [org.springframework.web.HttpMediaTypeNotSupportedException: Content 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charset=UTF-8' not supported 와 같은 오류를 내서 찾아봤더니 @RequestBody 어노테이션 사용으로 인해 생기는 오류라는 말이 있어서, 없애고 실행해봤더니 잘 됐다. 왜 그런지는 이유를 모르겠다. 예상해보자면, Json이 아닌 FormData 방식으로 요청을 하면 body..
이 오류는, 3306이란 포트를 어떤 곳에서 사용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현재 공부중인 것은 MySQL을 사용하는데 MariaDB가 이미 설치가 되어 있는 상태에서 MySQL을 사용하려고 하니깐 생긴 에러다. MariaDB를 삭제하면 쉽게 해결하지만, MariaDB를 삭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일단, 윈도우 하단에 검색하는 곳에 서비스라고 입력을 하자. 그리고 MariaDB를 찾아서 일시중지 또는 중지를 시켜주면 완료된다. 에러 해결 끝!!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다음 글로 찾아오겠습니다!
입사한 지, 6일차.. 스프링으로 회사 코드 내에 테스트 게시판을 만들어서 진행하고 있다. 현재 삭제기능을 만들고 있는데....ㅠㅠ 왠지 모르겠으나, @DeleteMapping 어노테이션으로 하는데... 왜 405 error가 뜨는거냐!! 그래서, POST 방식으로 method를 변경하고, delete!!! 근데 밑에와 같은 에러를 뱉는다.. JSON parse error: Cannot deserialize instance of `int` out of START_OBJECT token; nested exception is com.fasterxml.jackson.databind.exc.MismatchedInputException: Cannot deserialize instance of `int` out o..
Mac OS 컴퓨터를 포맷하고 난 뒤 스프링 프로젝트가 다 다운받아지고, github에 업로드 할려고 했는데 밑에와 같은 로그가 뜨면서 업로드에 실패했다고 한다. remote: Support for password authentication was removed on August 13, 2021. Please use a personal access token instead. 이러한 오류를 발견했다. 아니 맥북을 몇년전에 사용했던 것도 아니고.. 한 3개월만에 새로운 마음으로 포맷을 한건데.. 3개월 전에는 이런식으로 안했는데 왜 이러지? 라고 하고 해결법을 찾는다. Github push token 에러 해결 링크 위의 링크를 참고해서 문제를 해결했다.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해서 로그인 하는 방식이 아닌..
- Total
- Today
- Yesterday
- HTML
- Spring
- 유니티3D
- 프리젠테이션 로직
- Base Of Coding
- Next.js
- 유니티
- c#
- 비지니스 로직
- Vuforia
- 유니티로 배우는 C#
- MVC
- JSP
- baseofcoding
- 프로그래밍
- unity3d
- 서블릿
- Unity
- 스프링
- VR
- Java
- 뷰포리아
- CSS
- Controller
- GitHub
- Servlet
- Git
- 안드로이드
- 게임프로그래밍
- spring boo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